-
-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지원사업 선정 NEW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에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컨소시엄이 선정되었으며, 보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균관대 권상희 교수. 사진 성균관대학교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수연 인턴 기자 = 성균관대(총장 신동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에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컨소시엄은 주관기관인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을 비롯해 KDX한국데이터거래소, (주)매트릭스, (주)미소정보기술, 아티피셜소사이어티, 티엔엠에스(주) 등 총 6개의 기관이 참여하며 컨소시엄의 총괄 책임은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권상희 교수가 맡는다. 컨소시엄은 오는 11월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개발 경진대회를 개최해 데이터 추가 학습 및 연구성과 확산에 나선다. 대회 기간에는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공개 강의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며 대회 일정은 내달 중 성균관대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된다. 성균관대 권상희 교수는 "현재 인공지능 도입의 가장 큰 장애물로 기계학습용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며 "산학협력을 통해 양질의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 문장을 판단하고 추론할 고도화된 인공지능 모델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작성일 2022-08-12
- 조회수 52
-
- 정성은 교수 Communication Theory에 논문 게재
- 우리학과 정성은 교수가 커뮤니케이션 이론 분야 최고 국제 학술지인 Communication Theory에 메시지 격차와 의견 변화 간의 관계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비교한 논문을 게재하였다 (템플대학교의 Dr. Edward L. Fink 교수와 공저). 게재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Chung, S., & Fink, E. L. (2022, July 5). Mathematical models of the effect of message discrepancy on belief change: Previous models and a modified psychological discounting model. Communication Theory.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93/ct/qtac010
-
- 작성일 2022-07-07
- 조회수 160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VR 스페이스’ 오픈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VR 스페이스' 오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실감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VR 스페이스를 오픈했다. VR 스페이스는 실감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오큘러스 퀘스트2, 올인원 VR 헤드셋, 고성능 GPU 컴퓨터, 360도 카메라, 실감형 오디오 세트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학생들이 수업과 수업시간 외에도 실습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VR·AR 등의 실감미디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감콘텐츠를 창의적으로 기획하고 표현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메타버스와커뮤니케이션, ▲메타버스와콘텐츠비즈니스, ▲미디어UX디자인, ▲미디어콘텐츠기획론 등의 과목들을 신규 개설하여 혁신수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들 수업에서는 VR·AR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 건강, 생활안전, 재난재해, 교육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감콘텐츠를 실제 제작하고 테스트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무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앞으로 학생들의 실감콘텐츠 공모전 및 경진대회 참여와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현장실무 프로젝트, 인턴십, 전문가 세미나 및 워크숍 등을 비롯한 산업체 교육프로그램을 교과과정에 접목하여 실감콘텐츠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다.
-
- 작성일 2022-05-12
- 조회수 348
-
- 정다은 박사, 정성은 교수, 장혜정 석사과정 <한국소통학보> 논문 게재
- 정다은 박사, 정성은 교수, 장혜정 석사과정 <한국소통학보> 논문 게재 우리학과 미디어문화콘텐츠연구소의 정다은 박사, 정성은 학과 교수, 그리고 장혜정 석사과정생이 팬데믹 시기 대인소통과 관계 친밀감의 변화에 관한 논문을 <한국소통학보>에 게재하였다. 정다은·정성은·장혜정 (2022, 2월 28일). 팬데믹 시기 대인 소통과 관계 친밀감의 변화. <한국소통학보>, 21권 1호, 205-254. http://doi.org/10.51652/ksmca.2022.21.1.6
-
- 작성일 2022-03-07
- 조회수 439
-
- 정성은 교수 · 김무선, 임지유 석사 Youtube "사피엔스 스튜디오" 출연 "제3자 효과"에 대해 강연
- 정성은 교수 · 김무선, 임지유 석사 Youtube "사피엔스 스튜디오" 출연 "제3자 효과"에 대해 강연 우리학과 정성은 교수와 김무선 임지유 대학원생이 CJ ENM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사피엔스 스튜디오'에 출연해 미디어 효과이론 중 하나인 "제3자 효과"에 대해 강연하였다. "가짜 뉴스, 나만 빼고 다 속겠지?" 나보다 '남'의 능력을 더 각박하게 평가하는 인간의 심리 [논문읽어드립니다] | 정성은 교수 관련 동영상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zv8YOFQAUJc&t=1s
-
- 작성일 2022-01-26
- 조회수 505
-
-
- 정성은 교수 전미커뮤니케이션학회 연례 학술대회 논문 발표
- 정성은 교수 전미커뮤니케이션학회 연례 학술대회 논문 발표 2021년 11월 18일부터 11월 21일까지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전미 커뮤니케이션 학회(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연례 학술 대회에서 우리 학과의 정성은 교수 그리고 본과 출신으로 현재 University of Denver의 조교수인 김율리 교수가 아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Kim, Y., & Chung, S. (2021, November). Risk-likelihood perception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infectious diseases: Testing different types of risk-likelihood perceptions in the context of MERS and COVID-19.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Seattle, WA
-
- 작성일 2021-11-26
- 조회수 584
-
- 유효선 석박통합 · 이재국 교수, <한국언론학보> 논문 발표
- 유효선 석박통합 · 이재국 교수, <한국언론학보> 논문 발표 유효선 석박통합과정생과 이재국 교수가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관여 행동과 관련해 <한국언론학보> 65권 5호에 논문을 발표했다. 게재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유효선 · 이재국 (2021). 여론으로서의 소셜미디어: 이념 극단성과 SNS 유형, 이용자 관여의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65권 5호, 286–327. http://doi.org/10.20879/kjjcs.2021.65.5.008 요 약 오늘날 언론은 소셜미디어 이용자 지표를 통해 여론을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대표성이 부족하고 양극화된 목소리를 반영한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소셜미디어에서 누가 어떤 상황에 의견을 표현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자는 공감 및 추천, 댓글, 공유 등 관여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한다. 본 연구는SNS 관여가 청중의 존재를 염두에 둔 이용자의 의견 표현 행위라는 점에 주목해 이념 극단성과 SNS 유형이 SNS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SNS 유형을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에 대한 이용자 선호가 SNS 관여도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분석했다. 2016년 한국미디어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 이념극단성과 SNS 관여도 사이의 정적인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SNS 유형과 관련, 개방형 SNS 선호도와 SNS 관여도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발견됐지만 폐쇄형 SNS 선호도와 SNS 관여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 이념 극단성과 각 SNS 유형에 대한 선호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폐쇄형 SNS 선호도와 SNS 관여도의 정적인 관계는 이념극단성이 높은 조건에서, 개방형 SNS 선호도와 SNS 관여도의 정적인 관계는 이념 극단성이 낮은 조건에서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이념 극단성이 높은 이용자들이 소셜미디어 대화를 주도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며, 소셜미디어 이용자 지표를 여론 해석에 활용하는 데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 작성일 2021-11-11
- 조회수 485
-
-
- 석박통합과정 유효선, <한국언론학회 2021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 우수논문상 수상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인 유효선 원우(지도교수 이재국)가 2021년 8월 27일 한국언론학회에서 주최한 <2021 전국 대학원생 컨퍼런스>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해당 컨퍼런스는 지난 20여년 동안 언론학을 전공하는 전국의 대학원생들이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 교류하고 학문적 역량을 증진시키는 장이 되어 왔다. 유효선 원우는 <이용자는 어떤 뉴스에 관여하는가? 코로나19 백신 이슈의 속성이 뉴스 관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포털 이용자의 뉴스 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의 특징이 무엇인지 탐구함으로써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번 연구는 최신 자연어 분석 기법인 구조적 토픽 모델링과 감성 분석을 통해 뉴스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의 뉴스 행동을 예측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연구에는 우리 대학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박사과정생 김병준 원우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2021 대학원생 컨퍼런스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iJXLyb7HSEo 우수논문상 수상자 명단 https://comm.or.kr/news/notice1/1000013106
-
- 작성일 2021-09-01
- 조회수 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