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 우수논문상 수상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는 김무선 학생(우리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부 및 석사 졸업, 현재 텍사스 대학 커뮤니케니션학과 박사과정생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과 함께 커뮤니케이션 분야 최고 국제학회인 국제커뮤니케이션학회(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ICA)가 주최하여 올해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연례학술대회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분과 우수논문상 (Top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Top Four Paper Award, Mass Communication Division,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Toronto, Canada, 2023: Kim, Moo. Sun., Chung, Myojun., & Chung, Sungeun(2023, May 26). User Comments as a Public Opinion Cue? How Argumentative User Comments Play an Additional Role of Persuasive Messages.
-
- 작성일 2023-05-30
- 조회수 184
-
- 강금량 박사, 정성은 교수 <한국언론학보> 논문 게재
- 강금량 박사, 정성은 교수 <한국언론학보> 논문 게재 우리학과 미디어문화콘텐츠연구소의 강금량 박사 (2023년 2월 졸업)와 정성은 학과 교수가 SNS에서의 약자성공담의 공감과 공유에 관한 논문을 <한국언론학보>에 게재하였다. 강금량·정성은(2023. 4. 30). 약자 성공담의 정서적·인지적 반응과 소셜미디어에서의 공감과 공유. <한국언론학보>, 67권 2호, 117-152. https://doi.org/10.20879/kjjcs.2023.67.2.004
-
- 작성일 2023-05-08
- 조회수 346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국 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취업률 1위 달성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국 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취업률 1위 달성(출처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http://www.edujin.co.kr)) 대학알리미 조사결과에 따르면, 신문방송학과 및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과 중 취업률이 가장 높은 대학 1위는 성균관대로 81.8%로 조사됐다. 2위는 서울대 언론정보학과로 78.9%이며, 3위는 중부대 78%, 청운대 77.3%로, 한양대 에리카가 76.7%로 조사됐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의 전체 대학 평균은 63.2%로 문과계열 평균치보다는 높았다. 전국 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및 신문방송학과 취업률 순위 및 자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듀진 기사 UR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592
-
- 작성일 2023-05-02
- 조회수 526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유명 유튜브 채널과 함께 학과 소개영상 제작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유명 유튜브 채널과 함께 학과 소개영상 제작 - MZ세대 맞춤형 영상 제작으로 홍보효과 기대 - 출연진, 일일 학생으로 학과 수업 참여 구독자 50만명 이상의 유튜브 채널 ootbSTUDIO의 웹예능 '전과자'(매일 전과하는 남자)에 우리 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편이 업로드되어 화제다. '연예인과 일하는 학과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영상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김시래 교수의 <디지털 광고 제작 실습> 수업 및 이세영 교수
수업을 배경으로 촬영이 진행되었다. 채널의 출연진인 비투비 멤버 이창섭이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의 일일 학생으로 참여하여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의 이론에 관한 수업부터 봄을 주제로한 광고 제작 실습 수업을 경험하는 과정이 영상으로 제작되었고, 그 과정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만의 독특한 학부 수업 커리큘럼의 매력이 드러났다. 이세영 교수의 수업 시간에는 컴백을 앞둔 비투비 멤버들이 깜짝 방문하는 이벤트가 진행되었다. 비투비 멤버들은 업계 종사 선배로서 향후 방송업계 진출에 관심을 두고 있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들에게 질의응답을 받는 시간을 갖기도 했으며, 공부하느라 지친 학생들에게 노래를 불러주는 감동적인 무대를 연출하기도 하였다. 해당 영상에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생회실(과방)에서 학생회장 등 총 세 명의 학생과 함께 비투비 멤버 이창섭이 점심 식사를 하는 장면도 포함이 되었다. 학과 관계자는 "학생들의 소중한 추억이 있는 과방이 배경으로 소개되며, 학생들이 학과에 다시금 소속감과 애정을 확인하고 느낄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전했다. 우리 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편 영상은 업로드 4일 만에 조회수 160만을 돌파하였다. 백태현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장은 "향후에도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만의 독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디 구축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고 밝혔다. 해당 영상은 아래 유튜브 채널 링크를 통하여 시청이 가능하다. ○ 웹예능 '전과자'(매일 전과하는 남자)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편 보러가기(클릭) -
- 작성일 2023-05-02
- 조회수 606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SKKU Forever' 대학 홍보영상 제작 및 시사회 개최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SKKU Forever' 대학 홍보영상 제작 및 시사회 개최 - 학생들이 직접 만든 SKKU Forever! 우리 학교 학생들이 직접 만든 우리 대학 홍보영상이 화제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방송영상콘텐츠실습> 수업을 듣는 70명의 학생들은 KBS 프로듀서로 재직 중인 장현석 피디의 지도하에 'SKKU Forever'를 주제로 한 달 동안 7팀으로 나눠 기말프로젝트 영상을 제작하였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공학생뿐만 아니라 문과대, 공과대, 경영대 등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은 드라마에서부터 다큐, 브이로그, 뮤직비디오, 모큐멘터리, 인터뷰 등 다채로운 형식의 영상을 통해 자신들의 경험과 학교 사랑을 영상에 담으며, 자신들의 기발한 아이디어와 참신한 구성, 감각적인 연출 실력을 맘껏 발휘하였다. 지난 12월 9일 금희조 문화예술미디어융합원 부원장, 서미혜 미디어문화융합대학원장, 이세영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학과장이 참석한 기말영상프로젝트 시사회에서 학생들은 자신들이 만든 영상을 발표하였는데, 이번 영상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무엇보다 학교의 숨은 매력을 발견한 것이 가장 소중한 경험이라고 입을 모았다. "오늘 같은 시사회는 대학생이 되어서 처음 경험하는 오프라인 행사"라고 발표를 시작한 한 학생은 "힘든 실습 과정이었지만 팀원들과 부대끼며 촬영과 편집을 한 경험은 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균관의 얼과 정신이 600년을 이어온다는 주제를 시공을 초월한 드라마 형식으로 표현한 영상이 <콘텐츠대상>을, 학생들의 일상을 진솔한 인터뷰에 담아 표현한 영상이 <영상연출상>을, 성균관대의 매력을 수험생의 눈으로 브이로그 형식을 빌어 유쾌하게 표현한 영상이 <베스트아이디어상>을 수상하였다. 기존의 관행적인 학교 홍보 영상의 문법을 깨면서, 우리 학생들의 눈으로 학교 자랑을 다채롭게 표현한 이번 영상들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메타버스와콘텐츠비즈니스> 과목을 담당하는 박윤정 교수와 학생들이 개발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관람이 가능하다. 이세영 학과장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앞으로 과목 간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의 창의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적극 지원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홍보 영상 관람 방법: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및 해제한 후 'meta.exe' 파일을 실행하면 관람 가능 - https://drive.google.com/file/d/1LPXfGdFqJQhVCtH2crYXaxQhKkGk8vyg/view?usp=drivesdk
-
- 작성일 2022-12-30
- 조회수 2273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 한국언론학회 우수논문 학술상 수상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 한국언론학회 우수논문 학술상 수상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정성은 교수가 지난 10월 15일(토) 서울대학교에서 ‘무한 연결 사회의 단절: 언론(학)의 해법 찾기’를 주제로 열린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한국언론학회에서 매년 수상하는 우수논문상은 지난 일 년 동안 한국언론학회가 발행하는 세 가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최우수 논문에 주어지는 상이다. 정성은 교수는 덴버대학교의 김율리 교수(글로벌리더학과 학사,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석사), 인하대학교의 심민선 교수와 함께 위험 가능성 인식의 여러 유형에 따라 위험 가능성 인식과 예방 행동 실천 여부 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코로나 감염병 예방 행동에 적용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논문명: 정성은, 김율리, 심민선.(2022).위험가능성 인식 유형에 따른 예방행동에 대한 예측효과 검증 : 절대·비교 및 조건·무조건적 위험 인식의 예측효과 비교.한국언론학보,66(2),155-187. ※ DOI: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2.004
-
- 작성일 2022-10-19
- 조회수 1449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김경민 학생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수석 합격
- [법률저널=이성진 기자] 지난 3일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에서 40명이 최종 합격했다. 올해 37.2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뚫은 합격자 가운데 수석 타이틀의 주인공은 김경민(26) 씨였다. 김 씨는 2차 성적 평균 73.78점(합격선 61.58점)을 획득해 최고 득점자로 이름을 올렸다. 과목별 그의 성적을 보면 학제통합논술Ⅰ 75.50점, 학제통합논술Ⅱ 58.50점, 국제정치학 75.33점, 경제학 77.33점, 국제법 82.25점 등으로 수석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그는 서울외고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 진학해 현재 4학년 재학 중 수석 합격의 영예를 안았다. 수석 소식에 김 씨는 “너무 기쁜 마음과 얼떨떨한 마음이 공존하네요. 합격도 믿기지 않았는데 수석이라고 하셔서 이런 행운이 한 번에 찾아와도 되나 싶은 정도로 얼떨떨하다”며 “지난해 외교관후보자 수석 합격하신 분의 수기를 보면서 나도 수석이 될 정도로 열심히 공부해보자고 다짐했었는데 정말로 목표를 이루게 되어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책임감 있는 외교관이 되고 싶습니다” 김경민 2022년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수석/서울외고 졸업/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4년 PSAT, 요구하는 논리나 사고의 흐름을 포착하고자 노력 논술시험, ‘얼마나 잘 읽히느냐’라는 형식과 구조에 주목 “작심삼일 극복하려면 ‘습관처럼’ 공부하는 것이 중요...” 목표를 정할 땐 계기가 있기 마련이다. 스무 살 때 그는 친구들과 함께, 세계 각국의 차관급 인사들이 모여 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서울안보대화 서포터즈 활동에 참여했다. 그 자리에서 많은 세계 정상급 인사들이 모여 의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나 또한 언젠가 저 자리에 앉아 국익을 위해 힘쓰고 싶다’고 생각했던 것이 외교관 도전의 시발점이었다. 그는 곧바로 실천으로 옮겼다. 응시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는 군 복무 중에 준비했다. 제대 이후 2020년 3월에 실제 진입해 작년에 처음 2차에 응시했지만 고배를 마셨고 올해 최종 합격했다. 본격적인 수험생활을 시작한 지 약 2년 4개월 만에 꿈을 이룬 셈이다. PSAT를 어떻게 준비했는지를 묻자, “처음에는 기본강의를 들으면서 문제 접근 방식을 익혀나갔고 그 이후 기출문제를 분석하면서 기출에서 요구하는 논리나 사고의 흐름이 어떤 것인지 포착하고자 노력했다”고 했다. 이외에도 모의고사를 풀면서 문제풀이 능력을 기르고자 했다는 것. 보통 세 과목 중 자료해석이 가장 성적을 올리기 쉬운 과목이라고들 하지만, 그에겐 점수가 좀처럼 오르지 않아 애를 먹였던 과목이었다. 특히 새로운 문제보다 아는 문제임에도 계산 착오가 중첩돼 오답률이 올라가는 점이 문제였다. 그래서 김 씨는 어떤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계산을 해나갈 수 있을 정도로 단순 계산문제를 반복적으로 풂으로써 계산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실전에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었다. 시험 1주일 전에는 새로운 모의고사를 풀면 판단기준이 흔들릴 수 있다는 판단에서, 아껴두었던 최근 기출 2내년 치를 다시 풀면서 마무리를 한 결과 넉넉한 점수를 취득할 수 있었다. 헌법은 겨울에 개강하는 핵심강의를 들으면서 개념을 정리했고 그 이후에는 기출문제와 모의고사를 풀었다. 헷갈리거나 자주 틀리는 선지들은 다시 모아두어 시험 전까지 그 정리본을 반복해서 회독했다. 2차 과목은 깊이 있는 내용에 엄청난 암기량을 요구하기에 누구나 버겁기만 하다. 특히 김 씨는 비전공자로서 경제학 개념을 이해는 데 초반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진입 초반에 약 2달 정도 교과서를 정독하고 강의를 활용해 개념을 다져나갔고 이후 순환을 따라가면서 매일매일 꾸준히 정해진 양의 문제를 반복해서 풀었다. 그는 “지난해 2차를 경험하면서 그때의 실수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다양한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다른 문제집들을 구해서 많은 문제에 접근해보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국제정치학은 양이 워낙 방대하고 범위조차 명확하지 않아 혼자서 공부하기 가장 막막한 과목으로 꼽힌다. 따라서 그는 학교 고시반 내 스터디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스터디에서 주요 단행본을 같이 읽어나갔고 답안스터디를 진행하며 답안 쓰는 능력을 향상해나갔다. 이와 동시에 (정치외교학을 복수전공하면서) 학교수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2차시험은 실제 대학교수들이 출제하므로, 학교수업을 통해 교수들이 강조하는 쟁점들과 관점들을 알고자 노력했다. 김 씨는 경제학과 국제법에서 고득점을 했다. 하지만 그에게 국제법은 가장 골칫거리였다. 경제학은 시간 투자를 많이 해왔고 국제정치학도 성적이 나쁘지 않게 나왔지만, 국제법은 지난해 시험에서 좋지 않은 점수를 받은 데다 양도 방대해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난감하기만 했다. 지난해 시간 투자를 많이 하지 못해 아주 낮은 점수를 취득했다는 판단에서 올해는 시간 할애를 많이 하면서 스터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암기스터디와 답안스터디를 병행하면서 다른 수험생들과의 의견을 공유하며 국제법에 대한 이해와 답안 쓰는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고 또한 신림동 학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첨삭을 통해 답안 점검을 계속해나갔다. 그는 “강의를 들으면서 개념을 익혀나갔고 동시에 답안스터디와 암기스터디를 진행하면서 공부했다”며 “특히 국제법의 경우 양이 워낙 많아서 3순환 기간에 했던 암기스터디가 많은 양을 한 번에 암기할 수 있게 해 큰 도움이 된 것 같다”고 고득점의 배경을 전했다. 여기에 더해 답안스터디에서 목차를 잡는 법을 철저히 연습했던 것도 한몫했다. 김 씨는 ‘얼마나 잘 읽히느냐’를 항상 염두에 두고 2차시험 준비에 임했다. 아무리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어도 글이 통일되지 않아 중구난방이라면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특히 경제학, 국제법, 국제정치학 모두 형식과 구조가 굉장히 중요한 것으로 생각했다. 그는 “평소에 글을 자주 쓰면서 어떻게 하면 더 논리적인 답안을 완성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더 깔끔하게 읽힐까를 고민했던 것 같다”며 “이러한 능력 또한 스터디를 통해 더욱 향상할 수 있었다”고 했다. 아울러 “사실 올해 통합논술1에서 고득점을 할 수 있을 거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면서도 “다만 국제정치학과 국제법을 꼼꼼히 공부했던 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됐던 것 같다”며 전 과목에서의 고득점 비결을 밝혔다. 올해 면접은 오전, 오후 조를 나누어 직무역량과 공직가치‧인성 면접으로 진행됐다. 30분간의 보고서 작성 시간이 주어졌고 이후 약 20분간의 대기시간이 주어진 후 40분 동안 실제 면접이 진행됐다. 면접관은 오전, 오후 각각 두 명이며 집단토의는 코로나 영향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김 씨에게 주어진 개인발표 주제는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에 대한 외교적 대응방안을 묻는 것이었다. 그는 “통상 2차 합격자가 발표되면 면접스터디가 꾸려지기 때문에 그 스터디에 참여만 열심히 한다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스터디를 통해 직무 관련 주제들을 공부하고 면접자뿐만 아니라 면접관 역할을 해봄으로써 면접에서 어떤 지점이 중요한지 알 수 있었다”고 조언했다. 수험생에게 스트레스 극복과 건강 유지는 합격을 위한 또 하나의 과목과도 같다. 그 또한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건강관리에 힘썼다. 3순환 전에는 이틀에 한 번은 운동을 나가 체력을 키웠고 3순환에는 식사 전후 시간을 이용해 산책 시간을 가지면서라도 기분전환을 하곤 했다. 또 스터디를 하면서 수험생활을 하며 겪는 고충들을 다른 수험생들과 나누었던 것. 김 씨는 “오늘 갑자기 공부를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가 불타오른다고 해도 그 의지는 3일 이상 지속되기 어렵더라”며 수험생활은 의지만으로는 버텨낼 수 없는 생활임을 강조했다. 그래서 그는 “별다른 정념 없이 마치 ‘습관처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매일매일 정해진 시간에 어떤 공부를 어떤 식으로 한다는 습관이 몸에 배어 있어야 기나긴 수험생활을 잘 이겨낼 수 있다”고 수험생들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책임감 있는 외교관이 되고 싶다”는 그는 “외교관으로서 행하는 모든 행동이 국민과 국가의 이익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늘 상기하며 직무에 임하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아울러 그는 우선 2년이 넘는 수험생활 동안 자신을 늘 믿고 지지해준,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부모님께 가장 먼저 감사의 말을 전했다. 멀리서 가슴 졸이면서 그를 응원해준 할머니, 할아버지, 이모 그 밖에 도움 주셨던 모든 친척분에도 감사를 더 했다. 그는 또 “하나뿐인 내 동생 수빈이, 합격의 순간을 함께 한 솔멍식구 상희와 은미, 열품타와 캠스터디를 하며 서로를 격려해주었던 준영이와 태민이, 스터디를 함께 했던 해빈, 상윤, 지민, 영조, 유정누나, 연수형, 주광이형, 지루한 수험생활을 함께 보내 준 선민이, 그 밖에 응원해준 모든 친구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했다. 나아가 수험생활 전반에 있어 도움 준 성균관대 외현재, 조원빈 교수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김경민 2022년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최고 득점(수석) 합격 서울외고 졸업/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4년 출처 : 법률저널(http://www.lec.co.kr)
-
- 작성일 2022-10-06
- 조회수 1820
-
-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지원사업 선정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에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컨소시엄이 선정되었으며, 보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균관대 권상희 교수. 사진 성균관대학교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수연 인턴 기자 = 성균관대(총장 신동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사업에 성균관대 산학협력단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컨소시엄은 주관기관인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을 비롯해 KDX한국데이터거래소, (주)매트릭스, (주)미소정보기술, 아티피셜소사이어티, 티엔엠에스(주) 등 총 6개의 기관이 참여하며 컨소시엄의 총괄 책임은 성균관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권상희 교수가 맡는다. 컨소시엄은 오는 11월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개발 경진대회를 개최해 데이터 추가 학습 및 연구성과 확산에 나선다. 대회 기간에는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공개 강의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며 대회 일정은 내달 중 성균관대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된다. 성균관대 권상희 교수는 "현재 인공지능 도입의 가장 큰 장애물로 기계학습용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 꼽히고 있다"며 "산학협력을 통해 양질의 기계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 문장을 판단하고 추론할 고도화된 인공지능 모델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작성일 2022-08-12
- 조회수 1318
-
- 정성은 교수 Communication Theory에 논문 게재
- 우리학과 정성은 교수가 커뮤니케이션 이론 분야 최고 국제 학술지인 Communication Theory에 메시지 격차와 의견 변화 간의 관계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비교한 논문을 게재하였다 (템플대학교의 Dr. Edward L. Fink 교수와 공저). 게재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Chung, S., & Fink, E. L. (2022, July 5). Mathematical models of the effect of message discrepancy on belief change: Previous models and a modified psychological discounting model. Communication Theory. Advance online publication. https://doi.org/10.1093/ct/qtac010
-
- 작성일 2022-07-07
- 조회수 1081
-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VR 스페이스’ 오픈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VR 스페이스' 오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실감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VR 스페이스를 오픈했다. VR 스페이스는 실감콘텐츠 기획 및 제작에 필요한 오큘러스 퀘스트2, 올인원 VR 헤드셋, 고성능 GPU 컴퓨터, 360도 카메라, 실감형 오디오 세트 등의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학생들이 수업과 수업시간 외에도 실습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VR·AR 등의 실감미디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감콘텐츠를 창의적으로 기획하고 표현할 수 있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메타버스와커뮤니케이션, ▲메타버스와콘텐츠비즈니스, ▲미디어UX디자인, ▲미디어콘텐츠기획론 등의 과목들을 신규 개설하여 혁신수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들 수업에서는 VR·AR 기술을 활용하여 환경, 건강, 생활안전, 재난재해, 교육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감콘텐츠를 실제 제작하고 테스트함으로써 학생들의 실무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는 앞으로 학생들의 실감콘텐츠 공모전 및 경진대회 참여와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자 한다. 또한 현장실무 프로젝트, 인턴십, 전문가 세미나 및 워크숍 등을 비롯한 산업체 교육프로그램을 교과과정에 접목하여 실감콘텐츠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다.
-
- 작성일 2022-05-12
- 조회수 1380